감정 디자인 2

감정과 맛 사이 – 캐릭터 표정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심리 효과

표정은 첫인상이다 – 소비자 반응을 유도하는 감정 디자인음료 라벨에 등장하는 캐릭터의 표정은 단순한 일러스트 요소가 아니라, 소비자의 감정과 반응을 유도하는 심리적 유도 장치다. 특히 1970~80년대 라벨 디자인에서는 말풍선이나 설명 텍스트가 제한적이었기에, 캐릭터의 표정 하나가 제품의 성격을 전달하는 주요 메시지였다. 웃고 있는 캐릭터는 제품의 즐거움과 맛을 직관적으로 연상시키며, 눈을 감고 만족스러워하는 표정은 그 음료가 얼마나 기분 좋은지를 은유적으로 전달한다. 이는 “표정은 텍스트보다 강력하다”는 시각언어 이론과도 연결되며, 어린 소비자에게는 특히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다. 표정은 음료의 첫인상을 형성하고, 해당 제품을 시도해보고 싶은 욕구를 자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이것은 단순한 ‘귀..

동물은 왜 등장했는가 – 음료 라벨 속 동물 캐릭터의 기능과 진화

동물 캐릭터의 시작 – 친근함을 매개하는 첫 비주얼 언어1970~80년대 한국 음료 시장에서 동물 캐릭터는 단순한 장식 이상의 기능을 했다. 초기 음료 라벨에서 등장한 동물들은 대개 곰, 토끼, 병아리, 강아지와 같이 아이들에게 익숙하고 안전한 이미지로 인식되는 종들이었다. 이들은 상업적으로 ‘귀엽다’는 인상을 넘어서, 소비자와의 정서적 연결을 형성하는 시각적 도구로서 활용되었다. 어린이 소비자를 주요 타깃으로 한 과즙 음료나 유산균 음료 등에서 동물 캐릭터는 부모에게는 신뢰감을, 아이에게는 친근함을 전달하는 감정 매개체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당시 만화와 학습지에서도 반복 노출되던 동물 이미지와의 시너지로 인해, 브랜드는 자연스럽게 소비자의 일상 속으로 침투할 수 있었다. 결국 동물 캐릭터는 브랜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