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80년대 한국 음료 라벨 디자인에서 굵은 고딕체는 단순히 가독성이 좋은 서체 그 이상이었다. 두꺼운 획과 직선적인 형태는 힘, 신뢰, 그리고 강한 존재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였다. 특히 박카스와 코카콜라 한글병은 굵은 고딕체의 특성을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완벽하게 녹여낸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이 두 브랜드의 라벨은 서체만 보아도 제품의 성격과 마케팅 전략이 그대로 드러난다.
박카스 라벨의 고딕체는 매우 단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음과 모음이 균형 있게 배치되면서 획 두께가 일정하고, 획 끝은 깔끔하게 마무리된다. 이는 의약품에 가까운 자양강장제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강조하는 데 적합했다. ‘박카스’라는 글자가 병 중앙에서 또렷하게 시선을 잡아끌었고, 파란색 배경과 대비되어 강렬함을 더했다. 소비자는 글자를 보는 순간 ‘힘이 난다’는 이미지를 즉각적으로 연상할 수 있었으며, 이 효과는 광고 문구인 “피로회복” 메시지와도 완벽하게 맞아떨어졌다.
코카콜라 한글병의 굵은 고딕체는 박카스보다 조금 더 부드러운 인상을 준다. 1980년대에 출시된 한글 표기 ‘코카콜라’ 라벨은 붉은 바탕에 흰색 고딕체로 쓰였는데, 획이 두꺼우면서도 끝이 살짝 둥글려진 형태였다. 이 덕분에 강인함 속에서도 친근감이 살아 있었고, 청량음료로서의 대중적 매력을 강화했다. 코카콜라의 전통적인 곡선 로고가 주는 세련미와, 한글 고딕체의 직관적 가독성이 결합되면서 브랜드 인지도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두 브랜드 모두 굵은 고딕체를 사용했지만, 활용 방식과 분위기는 달랐다. 박카스는 ‘남성성’과 ‘기능성’을 전면에 내세워 서체를 단단하고 직선적으로 유지했으며, 색상 대비를 극대화하여 강력한 시각적 임팩트를 주었다. 반면 코카콜라는 ‘대중성’과 ‘친근함’을 중시해 획에 약간의 곡선을 주고, 로고와의 조화를 고려한 디자인을 선택했다. 결과적으로 박카스는 힘과 신뢰, 코카콜라는 활력과 즐거움을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이 시기의 굵은 고딕체는 단순히 남성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데만 쓰이지 않았다. 노동집약적인 산업 사회, 고성능·고효율이 강조되던 경제 성장기 속에서 굵은 서체는 ‘강하고 오래가는 제품’이라는 암묵적 메시지를 담고 있었다. 특히 박카스의 경우, 광고와 라벨 디자인이 일관되게 굵은 고딕체를 사용하며 강력한 브랜드 일관성을 구축했고, 이는 장기적으로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코카콜라 한글병은 세계적 브랜드의 현지화 사례로서도 주목할 만하다. 글로벌 디자인 언어인 코카콜라의 곡선 로고와 한국 소비자에게 익숙한 굵은 고딕체 한글 표기를 병행함으로써, 해외 브랜드라는 거리감을 줄이고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장했다. 이 전략은 소비자가 브랜드를 ‘외국 제품’이 아닌 ‘우리 곁의 음료’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기여했다.
오늘날에도 굵은 고딕체는 에너지 드링크, 스포츠 음료, 탄산음료 등의 라벨 디자인에서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세련된 폰트 디자인 속에서도, 굵고 강한 서체가 주는 힘과 존재감은 여전히 마케팅에서 매력적인 도구다. 박카스와 코카콜라 한글병의 사례는, 서체 하나가 어떻게 제품의 정체성과 소비자 인식까지 형성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역사적 예시다.
결국 굵은 고딕체는 단순히 ‘굵은 글씨’가 아니라, 시대의 가치관과 소비자의 욕구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상징이었다. 박카스의 단단함과 코카콜라의 친근함은 같은 서체 스타일 안에서도 얼마나 다양한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이는 지금도 브랜드 타이포그래피 전략을 세울 때 유효한 교훈으로 남아 있다.
'오래된 음료 패키지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와 한글 혼용의 이유와 소비자 반응 (0) | 2025.08.13 |
---|---|
둥근 명조체 vs 각진 고딕체: 브랜드 인식의 차이 (0) | 2025.08.12 |
당시 음료 라벨 속 손글씨체의 감성과 마케팅 효과 (0) | 2025.08.09 |
맛은 글자 안에 있었다 – 로고에 담긴 감각적 언어 (0) | 2025.08.05 |
글자가 그림이 되다 – 브랜드 로고의 시각 언어 분석 (0) | 2025.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