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80년대 한국 음료 라벨에는 지금과 달리 ‘손글씨체’가 빈번히 사용됐다. 당시 인쇄 환경은 금속활자나 사진식자 방식이 주를 이루었고, 세밀하고 균일한 컴퓨터 폰트는 존재하지 않았다. 디자이너들은 인쇄 제약 속에서 브랜드의 개성을 살리기 위해 직접 붓이나 펜으로 쓴 글씨를 라벨에 적용했다. 손글씨체는 단순히 제품명을 표시하는 도구를 넘어, 소비자에게 첫인상을 각인시키는 중요한 시각 언어였다. 곡선이 살아 있는 필획, 잉크 번짐이 남긴 질감, 여백과 배열의 자유로움은 기계적으로 찍어낸 글자에서 느낄 수 없는 따뜻함을 전달했다. 손글씨체 라벨의 가장 큰 특징은 ‘제품의 성격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이었다. 해태 ‘코코아’ 라벨은 붓펜으로 쓴 듯한 부드러운 필체와 둥근 획을 사용해 따뜻하고 달콤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