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가 주는 세련됨과 도시적 상징성1980년대 한국 음료 라벨 디자인에서 영어는 단순한 외국어 표기가 아니었다. 당시 한국 사회는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세계와 연결되고 있다’는 자의식을 강하게 갖고 있었고, 영어는 곧 국제화와 세련됨의 기호였다. 캔커피 라벨에도 ‘Coffee’, ‘Mild’, ‘Gold’, ‘Maxwell’, ‘Georgia’ 같은 단어들이 전면적으로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단숨에 이 음료를 도시적이고 현대적인 제품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흥미로운 점은, 제품명 자체는 한글로도 표기했지만 브랜드 로고나 주요 키워드는 대부분 영어였다는 점이다. 이는 “국산 제품이지만 세계적 감각을 담았다”는 상징성을 강조하려는 전략이었다.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도구로서의 영문 로고영문 로고는 단순한 장식..